이토 스케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토 스케유키는 1843년 사쓰마 번에서 태어나 영국 학문을 배우고 해군 기술을 익혔으며, 보신 전쟁에 참전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해군 대위로 임관하여 순양함 함장, 요코스카 조선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청일 전쟁에서 연합함대 사령관으로 황해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전쟁 후 자작 작위를 받았고, 군령부장, 대장, 원수를 거쳐 백작에 서임되었다. 그는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고 군인으로서 생을 마감했으며, 191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쓰마국 사람 - 주만 가나에
주만 가나에는 메이지 시대의 교육자이자 야구 선수로, "야구"라는 용어를 일본에 정착시키고 일본 최초의 야구 전문서를 출판하여 일본 야구 용어 표준화와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교육계에서도 활동한 인물이다. - 사쓰마국 사람 - 오쿠보 도시미치
메이지 유신을 주도한 사쓰마 번 출신의 일본 정치가 오쿠보 도시미치는 사이고 다카모리, 기도 다카요시와 함께 막부 타도를 이끌고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강력한 권력과 정책 추진 방식으로 비판받았으며 사족에게 암살당했다. - 휴가 이토씨 - 이토 스케타케 (1559년)
이토 스케타케는 1559년 휴가국에서 태어나 이토 요시스케의 차남으로, 규슈 정벌에서 공을 세워 다이묘로 복귀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고 세키가하라 전투 후 사망했다. - 휴가 이토씨 - 오비번
오비 번은 에도 시대에 이토 씨가 14대에 걸쳐 다스린 휴가국의 도자마 다이묘 번으로, 삼나무 재배와 어업을 통해 재정을 운영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미야자키현에 편입, 고무라 주타로를 배출했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고가 미네이치
고가 미네이치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함대 사령장관을 지냈으며, 해군병학교 졸업 후 여러 함선 근무와 주요 요직을 거쳐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후임으로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되었으나 팔라우 대공습 중 사망하여 대함거포주의론자이자 영미 협조파로서 복잡한 면모를 보였던 그의 사망과 일본 해군의 몰락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이토 스케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토 스케유키 (伊東 祐亨) |
다른 이름 | 이토 유코 (伊東 祐亨) |
출생일 | 1843년 6월 17일 |
출생지 | 가고시마, 사쓰마 번 |
사망일 | 1914년 1월 16일 |
사망지 | 도쿄, 일본 제국 |
별명 | 해당사항 없음 |
묘소 | 시나가와구해안사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71년 – 1907년 |
최종 계급 | [[파일:Imperial Japan-Navy-OF-9-collar.svg|30px]][[파일:元帥徽章.svg|20px]] 원수 해군 대장 |
주요 지휘 | 다이이치 테이보 (Daiichi Teibo) 가스가 아즈마 닛신 류조 히에이 후소 나니와 연합 함대 요코스카 진수부 해군 군령부 총장 |
주요 전투 | 영국-사쓰마 전쟁 보신 전쟁 청일 전쟁 황해 해전 웨이하이 전투 러일 전쟁 |
훈장 | |
훈장 | 금치훈장 (1등) 대훈위 국화장 |
참고 | |
로마자 표기 | Itō Sukeyuki |
2. 약력
1843년 사쓰마 번사 이토 스케노리(伊東祐典)의 넷째 아들로 가고시마성 아래 시미즈바바 정에서 태어났다. 오비 번주 집안인 이토 씨와 연결된 명문 출신이다. 가이세이쇼(막부의 학술기관)에서 영국의 학문을 배웠고, 에가와 히데타쓰에게서 포술을, 가쓰 가이슈의 고베 해군조련소에서 사카모토 료마, 무쓰 무네미쓰 등과 함께 항해술을 배웠다. 사쓰에이 전쟁에 종군했으며, 이후 도막파에 가담하여 보신 전쟁에서는 선봉에 서서 막부파와 싸웠다.[5]
메이지 유신 이후, 본격적으로 해군 건설이 시작되자 이토 스케유키는 1871년 해군 대위로 임관하였고, 1877년에는 순양함 닛신의 함장이 되었다.[5] 1882년 해군 대좌가 되었고, 이후 ‘류조’, ‘후소’, ‘히에이’의 함장을 역임하였다.[6]
1894년 청일 전쟁 발발 직전 연합함대 사령장관에 임명되어 황해 해전 등에서 함대를 지휘했다. 1894년 9월 17일 12시 50분부터 황해에서 벌어진 황해 해전에서 일본 연합함대는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하고 황해의 제해권을 확보했다. 이는 청일 전쟁의 전개를 일본에 유리하게 이끈 중대한 전환점이었다.[7]
청일 전쟁에서 연합함대 사령장관으로서 황해 해전 등에서 함대를 지휘하여 큰 공을 세웠다.[5] 1894년 9월 17일 황해 해전에서 일본 함대는 청나라 함대를 격파하고 황해의 해상권을 확보,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었다.[5]
이토 스케유키는 정치 권력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평생 군인으로서의 길을 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이지 유신의 원로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보면, 이토 스케유키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해군력 강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승리에 기여했지만, 이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914년 72세로 사망하였다.[5]
[1]
서적
Imperial Japanese Navy
3. 메이지 유신 이후 해군 경력
1885년 요코스카 조선소장 겸 요코스카 진수부 차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영국에서 건조 중이던 방호순양함 나니와의 일본 회항 위원장을 맡았고, 나니와가 정식 취역한 후에는 함장이 되었다. 1886년 해군 소장으로 진급한 후 해군성 군무국 제1국장 겸 해군대학교 교장을 거쳤고,[6] 1892년 해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요코스카 진수부 장관에 임명되었다.[6] 1893년 상비함대 장관에 임명되었다.[7]
4. 청일 전쟁 활약
1895년 웨이하이웨이에서 북양함대는 항복했고, 정여창은 항복 전날 음독 자살했다. 이토는 정여창의 시신을 정중히 송환하여 국제적인 예우를 표했다.[7]
5. 청일 전쟁 이후
1895년 웨이하이웨이에서 청나라 북양함대가 항복했을 때, 이토는 제독 정여창의 시신을 정중히 돌려보내 국제적인 예우를 받았다.[7]
전쟁 후, 이토는 그 공으로 1895년 8월 5일 자작 작위에 서임되었고,[15] 군령부장에 임명되었다.[5] 1898년 9월 28일 대장으로 진급하였다.[5]
러일 전쟁 때에는 군령부장으로서 대본영을 지휘했고, 1905년 1월 31일 종전 이후 원수로 진급하였다.[19][5]
1907년 9월 21일 백작으로 승격되었으며,[21] 종1위, 공1급 금치훈장, 대훈위 국화대수장을 수여받았다.[5]
6. 평가
7.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아버지 이토 스케노리 (사쓰마 번사) 형 이토 스케마로 (해군병학교장, 해군 중장, 자작) 남동생 이토 스케미치 (해군 대위) 남동생 쿠보타 스케아키 (해군 대좌) 아내 미츠 (가토 헤이하치의 장녀)[3] 장녀 타츠 (이토 카즈지 부인) 차녀 노부 (다카하시 신파치 부인)[3] 장남 이토 야스스케 (구명: 타케이치, 백작, 장인은 나카무라 사토루)[3]
참조
[2]
서적
海軍大将略歴:伊東祐亨
[3]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4]
웹사이트
伊東祐亨
https://kotobank.jp/[...]
[5]
서적
華族総覧
講談社現代新書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2-12-13
[7]
뉴스
韓国船沈没で見えた日中韓「水兵」の差
http://sankei.jp.msn[...]
2014-05-07
[8]
아카이브
甲1番大日記 式部寮達 赤塚真成外15名叙位の件
[9]
간행물
太政官日誌
1876-01-01/1876-06-30
[10]
간행물
彙報
官報
1884-05-01
[11]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6-11-01
[1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89-12-02
[1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2-02-15
[1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3-05-27
[15]
간행물
授爵・叙任及辞令
官報
1895-08-06
[1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8-03-09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8-10-22
[18]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3-10-31
[19]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6-02-01
[20]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7-01-28
[21]
간행물
授爵敍任及辞令
官報
1907-09-23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0-12-12
[2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3-11-11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14-01-17
[2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892-05-18
[2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1-04-11
[27]
아카이브
元帥海軍大将子爵伊東祐亨外四十六名外国勲章受領及佩用ノ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